결정적 성화(Definitive Sanctification)는 개혁주의 신학에서 성화의 중요한 개념으로, 신자가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써 죄의 세력으로부터 완전히 해방되었다는 교리를 의미합니다. 이 개념은 성화의 과정이 어떻게 신자의 삶에서 나타나는지를 설명하며, 칭의와 성화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결정적 성화의 정의
결정적 성화는 신자가 그리스도를 믿음으로써 영적으로 새롭게 되어, 죄에 대한 권세가 끊어졌음을 선언하는 단계입니다. 이는 단순한 윤리적 삶의 개선이 아니라,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을 기반으로 한 영적인 변화입니다. 존 머리(John Murray)는 이 과정을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통해 설명하며, 신자가 그리스도의 죽음과 함께 죽고 새로운 생명으로 살아간다고 강조합니다.
칭의와 성화의 관계
개혁주의 구원론에서는 칭의와 성화를 구분하되, 이 두 개념은 상호 연결되어 있습니다. 칭의는 믿음으로 의롭다 여김을 받는 과정으로, 단번에 이루어지는 법적 행위입니다. 반면, 성화는 신자의 삶 속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입니다. Herman Bavinck는 이 둘이 구별되지만 분리될 수 없으며,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통해 함께 이루어진다고 설명합니다.
성경의 근거
결정적 성화는 여러 성경 구절을 통해 뒷받침됩니다. 예를 들어, 베드로전서 2장 24절에서는 그리스도가 우리의 죄를 담당하셨고, 이로 인해 신자들이 죄에 대하여 죽고 의에 대하여 살게 되었다고 설명합니다. 이는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통한 결정적 성화의 원리를 강조합니다.
(조직신학 - 구원론) 성화, 거룩함의 열매를 반드시 생산하는 은혜 > 학사자료실 | 세계사이버신학교
(조직신학 - 구원론) 성화, 거룩함의 열매를 반드시 생산하는 은혜 > 학사자료실 | 세계사이버신
www.wcts.kr
결정적 성화는 개혁주의 성화론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신자가 그리스도 안에서 어떻게 새롭게 되어가는지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이는 단순히 도덕적 개선을 넘어, 하나님과의 관계를 회복하고 영적 삶을 살아가는 기초가 됩니다. 따라서 결정적 성화는 구원의 과정에서 신자에게 주어진 하나님의 은혜의 결정적이며 필수적인 부분이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