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글 임시파일 복구방법 임시저장위치 찾기

by 목포임장 2024. 10. 27.
반응형

한글 프로그램을 사용하다 보면 예기치 않게 문서가 사라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 유용한 것이 자동저장 기능입니다. 여기서는 한글의 임시파일 복구 방법과 위치를 살펴보겠습니다.

 

1. 한글의 자동저장 기능

한글은 기본적으로 10분마다 자동으로 작업 중인 내용을 저장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이는 프로그램이 강제로 종료되거나 시스템 오류로 인해 문서가 사라졌을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2. 자동저장 파일 위치

자동저장된 파일은 다음 위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Windows의 경우: C:\Users\{사용자이름}\AppData\Local\Temp
    • {사용자이름} 부분은 사용자의 계정 이름으로 대체됩니다.
    • 각 한글 버전마다 폴더 이름이 다를 수 있으므로, 정확한 경로는 한글 정보 보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글 프로그램에서 우측 상단의 물음표 아이콘을 클릭한 후 '한컴오피스 한글 정보'를 선택하면 '폴더 정보' 탭에서 임시 폴더의 위치를 찾을 수 있습니다.

 

3. ASV 파일 복구하기

임시 저장 파일의 확장자는 .asv입니다. 해당 폴더에 들어가면 Hwp 뒤에 숫자가 붙은 폴더를 찾고, 그 안에 있는 .asv 파일을 더블 클릭하여 복구 작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글 2010의 경우는 Hwp80, 한글 2014는 Hwp90, 한글 2020은 Hwp110 폴더입니다.

 

4. 자동저장 및 백업 설정

한글의 자동저장 설정은 '도구 > 환경설정'에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저장 간격을 설정하거나, '백업파일 만들기' 옵션을 활성화하여 더 안전하게 작업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백업 파일은 저장할 때마다 별도로 저장되며, .bak 확장자로 존재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5GIsPt-dIII

 

문서 작업을 할 때는 자주 저장하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자동저장 기능이 있어도 모든 내용을 복구할 수는 없기 때문에, 작업 중에는 Ctrl + S를 통해 수시로 저장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